관찰 관찰의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면 '주의를 들여 사물이나 현상을 자세히 살펴본다'라고 적혀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에 조금의 부연설명이 필요한데 관찰은 카메라로 찍어놓은 사진을 보고 이야기를 하듯 내가 설명하는 내용과 상대방의 설명이 동일해야 합니다. 그러니까 관찰에는 자신의 느낌이나 자신이 만들어낸 스토리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비를 맞고 서 있는 한 남자'에 대해 누군가는 '쓸쓸해 보인다'라고 할 수도 있겠고 또 다른 사람은 '시원해 보인다'라고 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이처럼 특정한 장면에 대해 자신이 가지게 되는 감정이나 느낌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바라보는 것을 관찰이라고 합니다. 또한, 사람들은 스포츠를 비롯하여 각 영역에서 역경을 딛고 일어서서 마침내 성공을 해낸 사라들의 숨은 ..
조하리의 창 소개 '조하리의 창'이론은 자신이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어떠한 성향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으며 대인관계를 이해하고 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 점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이론입니다. 이러한 탐구를 통해서 스스로를 인식하고 타인이 인식하는 방식을 깨닫게 될 수 있는 이 이론은 1955년 조셉 루프트와 하리 임햄이 개발하였으며 이론의 이름이 되는 '조하리'는 두 사람의 이름을 붙여 만든 용어입니다. 가로축에서는 자신이 아는 부분과 모르는 부분으로 나눠져 있고 세로축에서는 타인에게 알려진 부분과 타인이 모르는 부부분으로 나눠져 있습니다. 이는 각각 열린 영역, 맹목적 영역, 숨겨진 영역, 미지의 영역 4가지의 사 사분면으로 표현되고 대인관계 역량을 향상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인 코칭이나..
버크만 진단 소개 버크만 진단 소개를 하면 사람들은 주로 살아가면서 해결해야 하는 산더미 같은 문제와 이슈를 먼저 걱정하면서 이러한 진단이 자신을 알게 되는데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궁금해합니다. 진단의 문항 또한 298문항에 30분가량이나 소요하며 문제를 풀어야 하는 시간을 아까워하기도 합니다. 이름도 생소한 진단 툴이 과연 자신을 아는데 도움이 될지 구성원의 성향을 아는 것이 관계개선이나 성과와의 연관성은 무엇인지 물어봅니다. 진단을 시작하기 전에는 'Yes', 'No'로만 답을 매긴 결과지로 자신에 대해 알려줄 수 있다는 것에 의아심을 가지기도 하지만 결과를 알고 난 이후의 피드백은 많이 다릅니다. 지금은 많이 알려져 있기는 하지만 아직도 '버그만', '바크만', '퍼크만'으로 잘못 알고 있는 버크만..
벌금 실험 벌금실험에 대해서 들어보신 적이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행동 경제학 교수인 댄 에리얼리는 부모님들이 어린이집에 아이들을 늦게 데리러 가는 상황에 대한 실험을 한 적 있었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출근 길에 아이를 어린이집에 맡겨 놓고 오후에 데리러 오는 부모들 가운데 가끔씩 늦게 오는 사람들에게 10분이 늦을 때마다 약간의 벌금을 내기로 하였습니다. 그런데, 이런 벌금 제도가 시작되고 나서 오히려 더 늦게 오는 부모님들이 많아지기 시작했고 실험이 시작된 지 1주일이 지나서는 예상과는 달리 지각을 하는 부모들이 훨씬 더 많아졌습니다. 에리얼리 교수의 이론에 의하면 제시간에 도착하고자 노력했던 부모님들의 마음은 바로 늦게 가서 아이를 오랫동안 보고 있던 선생님들에 대한 '죄책감'이었는데 이야기..
자신의 스트레스 행동 스트레스 행동은 아주 비효율적이고 파괴적이며 관계를 끊는 교묘하면서도 파괴적인 행동입니다. 하지만 이는 스트레스 그 자체와는 조금 구분이 될 필요가 있는데 여러 가지 신체상, 혹은 건강상 어려운 환경에 처하게 되었을 때 느끼게 되는 심리적이나 신체적인 긴장상태를 스트레스라고 합니다. 이러한 원인으로 인해 나타나게 되는 스트레스 행동은 부정적으로 보이며 손실이 큰 행동으로이기는 하지만 자연스러운 반응이고 조절이 가능합니다. 우리가 흔히 행동을 고치라고 말하거나 듣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말은 조금 더 그 속을 들여다볼 필요가 있습니다. 상대방이나 자신의 행동 그 자체를 바꾸는데 집중할 것이 아니라 자신의 내면, 즉 욕구에 집중해야 가능합니다. 사람의 강점행동과 스트레스 행동을 결정짓게..
자기 인식이론 자기 인식이론은 다릴 벰이라는 심리학자가 개발한 이론으로 한 개인의 태도가 형성되는데 따르는 설명을 뜻합니다. 그는 사람들이 자신의 행동을 관찰하는 동안 어떠한 환경이나 결정이 그에 따르는 원인이 되는지에 대해 결론을 내림으로써 자신의 태도를 개발하게 되는 과정이라고 말합니다. 이는 부족한 경험으로 인해 이전의 행동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거나 감정적 반응에 대해서 확실히 알지 못하는 경우에 해당됩니다. 이 이론은 사람들이 자신의 내면이나 감정 상태를 확인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신의 태도를 유도한다고 말하기 때문에 계획행동이론과 같은 통념적인 이론과 충돌하기도 합니다. 그러니까 자신의 행동에 대해 다른 사람의 행동을 설명하고자 하는 방식과 같은 접근을 통해 합리적으로 해석하고자 한다는 뜻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