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평적 문화와 수직적 문화 여러분의 팀이나 조직은 어떤 문화를 가지고 있나요?라는 질문에 대부분은 두 가지의 문화를 따로 떼어내어 생각을 하게 됩니다. 바로, 수평적 문화와 수직직 문화를 이야기하게 되는데 이는 조직이 오랫동안 그들만의 업무와 관계 방식을 통해 형성되어 지금도 유지하고 있는 고유한 개념입니다. 이 개념은 계층의 구조와 의사결정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구분되는데 당연히, 두 가지에는 장단점이 존재합니다. 수평적 문화는 협업과 민첩성에 있어 효과적이고 새로운 아이디어와 기획을 장려하는 반면 수직적 문화는 안정적인 시스템하에 명확한 지시와 효율성과 관리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수평적 문화는 탑다운방식의 직급에 대한 장벽을 최소화할 수 있고 직원들 사이에서 의사결정에 대한 분배와 권한 위임이 ..
버크만 진단과 리더십 회사생활을 하면서 일대일 대화를 할 때 팀장님은 평소 상대방을 반응을 세심하게 살피며 에둘러 설명하면서 이야기를 꺼내는데 한 팀원은 자신의 생각을 가감 없이 그대로 전달하고 직설적으로 본론을 바로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다른 팀원은 자신과 마찬가지로 상대방을 고려하며 미세한 반응을 살피면서 대화를 하는 팀원도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것은 평소에 보이는 행동과 그 속에 숨은 욕구는 다를 수 있다는 점입니다. 두번째의 팀원의 욕구는 '저에게 이야기하실 때는 그냥 솔직하게 있는 그대로 본론만 이야기해 주세요'였고 이런 속마음, 즉 욕구를 알게 되면서 버크만 진단을 하고 난 이후 디브리핑으로 진행하는 리더십 워크숍은 자신과 팀원들의 몰랐던 모습들을 알게..
변화의 변화 변화 그 자체가 변화하고 있는 요즘을 실감하게 됩니다. 그러니 곧 변화의 변화라고도 할 수 있는데 근면이 미덕이었던 시절을 지나 지금의 우리들에게 변화는 점점 과제로 주어지고 있는 형국입니다. 최선을 다하고 참고 지속해 나가는 것이 과거의 형태였다면 지금은 자신의 상태를 잘 알아차리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해졌습니다. 그 이유는 변화에 있는데, 과거의 변화와는 그 형태와 속도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빈번하고 우리 주변에서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기 때문입니다. 쉽게 관찰할 수 있는 계절의 변화에서부터 하루가 멀다 하고 바뀌고 있는 AI의 기술까지 변화는 우리 주변에서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뉴노멀이라 느껴집니다. 더불어 인생에서 가장 견고한 것조차도 변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합니..
조직에서 성향진단을 싫어하는 이유 조직에서 성향진단을 싫어하는 여러가지 이유들이 있습니다. 자신의 모습을 새롭게 이해하고 관계를 맺는 모습과 팀의 역동성을 알고자 워크샵을 진행하고자 하는 목적에도 불구하고 참석에 부정적인 의견들이 존재합니다. 버크만 진단을 통해서 조직 구성원들의 의견을 들어보다 보면 필요에 의해서 진단워크샵을 자발적으로 신청하여 참석하는 분들도 있지만 때로는 자발적인 참여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도 있습니다. 두 부류의 내적동기는 전혀 다르기 때문에 워크샵에 참석하는 사람들의 집중도에도 역시 온도차이가 느껴집니다. 하지만 직장생활에서 관계라는 부분은 생각보다 훨씬 복잡하고 민감한 부분이기 때문에 성향진단을 대하는 사람들의 여러가지 의견도 충분히 이해가 됩니다. 먼저, '진단'이라고 하는 단..
심리평가 심리평가의 개념은 면담, 심리검사의 자료 및 정신병리학적 지식에 기반을 두어 개인의 심리나 정사, 행동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말합니다. 개인이 경험할 수 있는 부적응적인 문제와 그러한 문제들을 가진 개인을 전체적으로 이해하고 문제를 정확하게 진단하고 규명하기 위한 절차를 의미합니다. 개인의 문제 행동에 대한 종합적인 판단을 하는 것으로 '주호소'가 어디서부터 비롯되었는지를 확인하고 무엇이 문제이고, 그것이 진짜 문제인지를 판별해 내는 과정을 포함합니다. 반면 심리검사는 개인의 행동표본을 표준화된 방식으로 측정하여 타인의 행동과 비교하는 체계적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규준에 맞춰 특정 집단에 쓰이는 검사는 그 집단의 대상에게만 사용해야 합니다. 인간의 다양한 심리적 특성들이나 성격, ..
해결 중심 접근 해결 중심 접근 방식은 코칭이나 상담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접근 방식의 역사적, 이론적 배경을 자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해결 중심 접근방식의 역사는 195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게 되는데, 1959년 캘리포니아의 팔로알토의 정신건강연구소에서 인간의 의사소통과 가족 내에서의 의사소통에 대한 효과성을 연구한 것이 그 시초입니다. 그 이후 1978년 위스콘신주 밀워키에 단기 가족 치료센터를 설립하여 1982년 해결 중심 단기 치료라고 이름을 지은 이후 버그(Berg)와 스자보(Peter Szabo)에 의해 해결 중심 단기 코칭이 출간되었습니다. 해결 중심 접근 방식의 이론적 배경은 상담에 대한 전통적인 문제 해결 중심 접근 방식과 대조적이라고 보면 됩니다...